목록코딩 study/python (32)
Creative Code
# 람다 함수 사용 예제 f = lambda x, y: x * y print(f(2, 5)) # 맵 리듀스 예제 exercise = 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 f = lambda x: x**3 - 2*x**2 + 1 print(list(map(f, exercise))) f = lambda x, y: x * y print(list(map(f, exercise, exercise))) print(list(map(lambda x: x - 2 if x % 2 == 0 else x, exercise))) from functools import reduce print(reduce(lambda x, y: x + y, exercise)) # 가변 인수 예제 def aster(a, *args..
# 파이썬 스타일 코드 # 리스트의 항목을 문자열로 연결 colors = ['red', 'blue', 'green', 'yellow'] result = ''.join(colors) print(result) # 문자열을 구분자로 분리하고 다시 결합 example = 'python,jquery,javascript' example.split(",") print(example) a, b, c = example.split(",") print(a, b, c) # 문자열을 점을 기준으로 분리 example = 'theteamlab.univ.edu' subdomain, domain, tld = example.split('.') print(subdomain, domain, tld) # 리스트의 항목을 공백으로 연결 re..
# STACK 자료구조 (리스트를 스택으로 활용) a = [1, 2, 3, 4, 5] a.append(10) # 10을 리스트 끝에 추가 (push) print(a) a.append(20) # 20을 리스트 끝에 추가 (push) print(a) print(a.pop()) # 리스트의 맨 뒤 요소를 제거하고 출력 (pop) print(a.pop()) # 리스트의 새로운 맨 뒤 요소를 제거하고 출력 (pop) word = input('단어 입력: ') word_list = list(word) print(word_list) result = [] for i in range(len(word_list)): result.append(word_list.pop()) # 'word'의 문자 순서를 뒤집음 print(re..
a = 'abcde' print(a[0], a[4]) # 'a'와 'e'를 출력합니다. print(a[-1], a[-5]) # 'e'와 'a'를 출력합니다. a = 'hello world study python' print(a[0:6], a[-9:]) # 인덱스 0부터 5까지의 부분 문자열과 뒤에서부터 9번째 문자부터 끝까지의 부분 문자열을 출력합니다. print(a[:]) # 문자열 'a' 전체를 출력합니다. print(a[-50:50]) # 문자열 'a' 전체를 출력합니다. (음수 인덱스는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) print(a[::2], a[::-1]) # 'a'의 모든 두 번째 문자와 문자열을 역순으로 출력합니다. a = 'hello' b = 'world' print(a + ' ' + b) #..
# 사각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함수 def Rec_area(x, y): return x * y # 사각형의 가로와 세로 길이 rectangle_x = 10 rectangle_y = 5 # 사각형의 넓이 출력 print('사각형의 넓이 :', Rec_area(rectangle_x, rectangle_y)) # 두 개의 함수를 정의 def f(x): return 5 * x - 7 def g(x): return x**3 + 5 # 변수 x의 값 x = 3 # f(x) + g(x) + f(g(x) + g(f(x)))의 계산 결과 출력 print(f(x) + g(x) + f(g(x) + g(f(x)))) # 리스트에 요소를 추가하는 함수 def classroom(student): student.append(7) #..
# 나이를 입력받아, 미성년자와 성인 여부를 확인합니다. age = int(input('당신의 나이는? :')) if age b) print(a == b) print(a != b) print(a is b) # 객체 동일성 확인 (정수에 대해서는 거의 True가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) print(a is not b) # 객체 동일성 확인 (정수에 대해서는 거의 True가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) print(a >= b) print(a 5 or b > 25) print(no..